Ns Hongil Yoon
menu


Yoon traces the drifting residues of emotion that elude capture within the accelerated, image-saturated terrain of contemporary visual culture. His practice manifests as a durational attentiveness to emotional undercurrents— a quiet excavation of affect- following the nearly imperceptible cracks that emerge between personal memory and collective forgetting, between self and society.


Rather than dramatizing pain or loss, Yoon turns toward forgotten sensations - quiet residues that slowly settle in the depths of consciousness and linger beyond the edges of memory and time. He does not seek to resolve or expose, but instead remains alongside them, dwelling in the unstable threshold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where memory trembles and identity disperses.


Through this practice, Yoon renders visible the uncertain identities that reside in immaterial, psychological spaces, attending to what disappears without inscription or witness. His work echoes with the minor, the unvoiced, the overlooked- the fragile murmur of what remains unspoken, offering a space for fugitive sensations to resurface, however fleetingly.


Ji Yun Kim
(Independent Curator) 

윤홍일은 가속화된 시각 소비와 이미지 과잉이 지배하 는 동시대 시각 문화의 지형에서 쉽게 드러나지 않는 감정의 잔여를 섬세히 추적한다. 그의 작업은 이러한 감정의 미세한 흐름을 지속적으로 응시하는 태도에서 출발 하며, 감정의 부유를 세밀히 발굴해 나가는 실천으로 이 어진다. 이는 개인의 기억과 집단적 망각, 자아와 사회 사이 미세한 균열을 따라 나아가는 여정이다.


그는 고통이나 상실을 극적으로 재현하기보다, 의식의 깊은 곳에 천천히 침전되어 기억과 시간의 경계를 넘어 오래 머무는 잊힌 감각들, 조용한 잔여들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감정들을 해결하거나 노출하려 하지 않고, 그 곁에 머물며 존재와 부재 사이의 불안정한 경계, 기억이 떨리고 정체성이 흩어지는 그 지점에서 함께 머문다.


이러한 실천을 통해 윤홍일은 비물질적이고 심리적인 공간 속에 자리한 불확실한 정체성들을 가시화하며, 기록되거나 목격되지 못한 채 사라지는 것들에 조용히 귀 기울인다. 그의 작업은 사소한 것들, 말해지지 않은 것들, 간과된 것들, 즉 말로 표현되지 못한 것들의 연약한 속삭임과 공명하며, 언제든 사라질 수 있는 감각들이 잠시나마 다 시 떠오를 수 있는 공간을 조심스럽게 마련하는 것이다.


김지윤
(독립 큐레이터)